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자반응 방식과 말하기 유창성의 상관관계 연구

이용수  71

영문명
The effects of different backchannels on fluency in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oral task production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정염(Yan Ding)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4호, 281~30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말하기 과제를 수행할 때 한국인 청자의 청자반응 방식(언어+비언어, 비언어, 무반응)에 따라 말하기 유창성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총 15명의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가 섭외되어 다음의 세 집단 중 하나에 동일하게 배정되었으며, 이들로 하여금 말하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1) 언어+비언어(V+NV), (2) 비언어(NV), (3) 무반응(NB). 유창성은 여섯 가지 시간적 지표인 Rate A(분당 음절수), Rate B(분당 유의미한 음절수), MLR(평균 발화 길이), AR(발음 속도), PTR(발음 시간 비율) 및 ALP(평균 휴지 길이)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치화한 결과를 SPSS v.27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학습자들은 ‘무반응’ 보다 ‘비언어’적 청자반응 방식과 ‘언어+비언어’적 청자반응 방식에서 가장 유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언어’적 청자반응 방식과 ‘언어+비언어’적 청자반응 방식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말하기 유창성 평가와 청자반응의 연구 범위를 넓히고 관련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상호작용하는 대화 환경에서 이루어진 청자반응의 교육과 응용에 앞으로 더욱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aims to place fluency research into interactive oral task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istener's backchannel responses on the fluency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oral task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empirically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5 intermediat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who performed oral tasks in three different backchannel conditions: (1) verbal and non-verbal backchannels (V+NV), (2) nonverbal-only backchannels (NV), and (3) no backchannels (NB). Defined as a temporal phenomenon, the oral fluency was transcribed and measured via six indicators: Rate A, Rate B, MLR, AR, PTR and ALP.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27 packag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uency of the 15 Chinese subjects in the NV group and V+NV group was stronger than in the NB group. However, said difference found between NV group and V+NV group was not considered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hat the listener's backchannels do facilitate the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fluency and the Chinese react similarly when given verbal and non-verbal backchannels and nonverbal-only backchannels. The study theoretically broadens the scope of fluency research and backchannel research, and provides valuable data and methods for the empirical study of backchannel in Korea. Furthermore. backchanneling, as a noteworhy interactive strategy, calls for more attention in both teach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험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염(Yan Ding). (2023).청자반응 방식과 말하기 유창성의 상관관계 연구. 이중언어학, (), 281-300

MLA

정염(Yan Ding). "청자반응 방식과 말하기 유창성의 상관관계 연구." 이중언어학, (2023): 281-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