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이용수  71

영문명
A Study of Parental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Korean American Child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percep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language, the social influence’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한하림(Halim Han)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4호, 187~21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재미동포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인식 범주를 ‘교육적, 언어,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점’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육적 관점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언어에 대한 관점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언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점에서는 <한국어 및 영어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은 직접적으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한국어 및 영어에 대한 인식>과 관련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American parents’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ocial influence of these two languages. A total of 56 Korean American par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home is more important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institutions. In terms of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parents tended to perceive Korean as a tool for identity maintenance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grandparents, and in terms of social influence of Korean and English, parents perceived that Korean has different social influence than English.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tween each perception category showed that perceptions of Korean and English influence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s of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were related to Korean learn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were related to social influence of Korean is lower than English.

목차

1. 서론
2.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하림(Halim Han). (2023).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이중언어학, (), 187-218

MLA

한하림(Halim Han). "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이중언어학, (2023): 187-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