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 향상용 특수 한국어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용수  93

영문명
A Needs Analysis Study for Designing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mprove Health Literacy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조하진(Hajin Cho) 김참이(Charmyee Kim)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94호, 145~18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가 의료시설 및 서비스를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건강문해력 향상용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다각도의 요구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문해력의 향상은 내·외국민을 막론하고 중요한 일이지만 여성 결혼이민자는 이주국에서 모국어가 아닌 한국어로 의료기관 및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며, 다문화가정의 가족 구성원으로서 배우자이자 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여성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사, 기관 한국어 교육과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강문해력 향상용 한국어 교육과정에 다음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첫째, 의료시설 및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의료시설 및 서비스 이용 시에 필요한 문어를 이해하고 문서를 작성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언어 교수가 필요하다. 여성 결혼이민자의 생애주기와 현장 요구를 반영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의 의료서비스 관련 제도 및 문화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ultifaceted needs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female married immigrants face in accessing health care facilities and services and to design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mprove health literacy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roving health literacy is essential for female married migrants because they have to access medical facilities and services in Korea, and they play the role of spouse and nurturer as family memb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a needs analysis conducted by thre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content for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mprove health literacy. First, the content should focus on the communication skills needed to access health care facilities and services. Second, the content is needed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write in the written language form needed to access health care facilities and services. Third, understanding the Korean health care system and culture should be includ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요구 분석 결과
5.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하진(Hajin Cho),김참이(Charmyee Kim). (2023).여성 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 향상용 특수 한국어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 145-186

MLA

조하진(Hajin Cho),김참이(Charmyee Kim). "여성 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 향상용 특수 한국어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2023): 145-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