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실에서의 상호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 효과 검증 연구
이용수 92
- 영문명
- A Study on Intercultural Education Approaches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A Study on Intercultural Education Approache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고혜민(Hyemin Go)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94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상호문화능력 신장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지만 전통문화를 교수하는 데 그치며, 상호문화 능력을 향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들이 있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학습자간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첫째, 상호문화교육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의 필요성을 정리하고 둘째, 학습자들에게 실제로 상호문화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 실제로 수업에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nhanc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While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has been a topic of extensive discussion, it often remains limited to teaching traditional culture, posing challenges in improving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ioritize understanding intercultural interactions among learners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iven the presence of learners from diverse national backgrounds. this manuscript, firstly, we review literature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and summarize the need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condly, we aim to propose strategies that can actually help learners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implement them in real classroom settings, subsequently seeking to validate their effectivenes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상호문화교육 수업 사례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자반응 방식과 말하기 유창성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교실에서의 상호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 효과 검증 연구
- 한일 관계에 따른 일본인 유학생의 정체성 형성 및 변화 양상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훈민정음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의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 향상용 특수 한국어교육 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연구
- 경험·발견’의 의미 기능에 기반한 ‘-니까’의 사용 양상 분석
-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대조 연구
- 한국어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연구
- 한국어 담화표지 '글쎄'의 담화전략적 기능 및 사용 양상 연구
- 재미동포 자녀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