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Synthesis in the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Autism in Korea: A Review of Literature from 1997 to 2006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구본경 신현기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3호, 283~3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의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자폐아 대상의 중재연구물 92편을 분석하였다. 자폐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재연구의 분석을 위해 첫째, 일반적인 특성(연구대상, 진단도구, 중재자, 중재환경) 둘째, 설계상 특성(실험설계방법, 중재결과의 분석방법, 중재의 회기당 시간, 중재기간, 유지/추후검사, 일반화,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의 빈도) 셋째, 중재연구의 중재방법과 중재의 목표행동, 넷째, 생애발달별 중재방법과 목표행동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10년간 중재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대상자는 학령전 아동, 진단도구는 CARS, 중재자는 연구자가 가장 많았고, 중재환경은 치료실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설계상 특성의 결과, 중재시간은 31-40분으로 기간은 1-2개월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단일대상연구로 시각적 그래프를 제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유지/추후검사와 신뢰도는 40%이상, 일반화와 사회적 타당도는 소수 연구물에서만 보고하고 있었다. 중재방법은 기타치료 및 프로그램, 기술중심중재, 인간관계중심중재 순이었고, 목표행동은 사회성, 의사소통, 문제행동이 비슷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생애발달별 분석결과, 학령전 아동에게는 응용행동분석이, 학령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신체활동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학령전 아동기와 성인기에는 의사소통이 학령기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는 문제행동을 가장 많이 목표행동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autism and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intervention studies. An extensive search process yielded a total of 92 intervention studied in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from 1997 to 2006 in Korea. Synthesis indicat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autism was increasing for the 10 years, the most of study subjects was 3 students and more than 50% that were preschool childhood. The most diagnosed autism by CARS, the mostly instructor was researchers, and the most used intervention setting was clinic. Second, the most study of intervention duration was 31-40 mins and the most intervention term was 1-2 months. The most research design was single-subject design and analysis method was th visual analysis on the graphs. Over 40% of studies were reported maintenance or follow-up and reliability, but few of that was reported generalization and social validity. Third, the most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other interventions and treatments such as art therapy, music therapy,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program. After skill-based interventions and treatm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ventions and treatments followed it. Target behaviors were social skill, communication, challenge behaviors were high similarly. Fourth, in preschool childhood used applied behavior analysis, in school childhood and in adolescence most used physical activity. For school childhood and adolescence intervened in challenge behaviors, for preschool childhood and adulthood intervened in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본경,신현기. (2007).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9 (3), 283-314

MLA

구본경,신현기.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9.3(2007): 283-3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