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Hospital Schoo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Korea and German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기흥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3호,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제적인 추세와 국내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그동안 교육과 수업에 있어서 사각지대에 있던 건강장애학생들이 2005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일부 개정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포함되어 병원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적 지원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건강장애아를 위한 교육적 서비스가 초기 단계에 있는 현실을 살펴볼 때에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가 실제적으로 많이 있음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교육학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하여 조사 연구함으로서 건강장애학생들의 학습 및 교육권 보장뿐만 아니라 장차 원적학교로의 재통합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두 나라의 관련 문헌조사를 비롯하여 인터넷 검색자료와 표본으로 선정된 몇몇 병원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시설 견학과 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였다. 몇 가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건강장애 및 병원학교의 개념을 비롯하여 입학과정, 수업형태 및 방법, 수업내용 및 방법, 교장 및 교사의 구성, 병원학교와 관련 기관과의 협력관계 등 일련의 운영방식에서 두 나라간의 차이점과 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os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ll-health, who have long been kept out from education and learning opportunities, are have now become the recipients of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of partial amendment of the 2005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with the global trend and strong local demand. It is very commendable that educational support is being implemented, starting from the hospital schools. Yet,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education services for those in ill-health are still at nascent stage in Korea, it cannot be denied that there are still a number of urgent and unresolved issue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into the operation system of hospital school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ill-health Germany, comparing the system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ot only guarantee of right to learning and education to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lso the basic materials for re-integration with regular schools. As research methodology, we have gathered necessary information and data from literatures and documents of both countries, from internet search, by visiting several hospital schools selected as samples to see the facilities and to interview the people concerned. Upon close examination of the research findings, we have discovered some differenc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in both countries in the concept of ill-health and hospital schools, and the ways of operation such as the admission procedure, class type and method, class contents and method, principal and teacher structur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schools, related institutions and persons.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 학생 및 병원학교의 개관
Ⅲ. 우리나라와 독일의 병원학교 운영체제의 비교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 꾸미기를 통한 SLI와 일반아동의 결속장치와 형태론적 어휘 산출 비교
- 집중학습 방법이 엔젤만증후군 아동의소변보기 향상에 미친 영향
- 가족지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 효율적인 지식경영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 시각손상 아동의 효율적인 운동수행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모형 고찰
- 프래자일 엑스 증후군의 원인과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을 위한 교수적합화의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과의 관계 연구
-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고찰
- 경남장애유아 조기교육 실태 조사
- 신체접촉원조(Soft Touching Assistance)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자폐성아동의 자발적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