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지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family art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ociability of juvenile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근매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3호, 223~2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청소년은 물론 가족에게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가족지원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K-CBCL에 의한 사회성 변화와 관찰 기록지에 의한 사회성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장애청소년 18명을 대상으로 2005년 4월부터 7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장소는 D연구소 집단미술치료실과 M청소년 수련원 강당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K-CBCL 및 관찰기록지를 사용하였다.먼저 장애청소년, 형제자매, 어머니에 대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각 집단의 특성에 맞게 구성하여 6회기씩 실시하였으며, 이후 전가족이 함께하는 가족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장애청소년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수준별 4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형제자매 및 어머니집단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K-CBCL과 관찰기록지를 통한 연구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장애청소년의 사회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사회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가족지원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take a look at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ociability of juveniles with disabilities by providing it to their family as well as them. The subject were 18 juvenile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members. It was conducted from April 2005 to June 2007 at “D” Art Therapy Institute and “M” Youth Center. K-CBCL and observation record shee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First, the total 6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ere carried out for the juveniles with disability groups, their sibling groups, and their mother groups and each session was compo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hen, family art therapy, which include total family members, was conducted. Group art therapy for juveniles with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disabilities levels. Group art therapy for their siblings and their mothers was divided 2 group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earch through K-CBCL and observation record sheet showed that the increase in the sociability of the juveniles with disability was significant in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e pretest. Therefore we could see their sociability was improved by and large. Second,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nd further discussion, I could get to the conclusion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for family members is effective enough to improve sociability of juvenile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 꾸미기를 통한 SLI와 일반아동의 결속장치와 형태론적 어휘 산출 비교
- 집중학습 방법이 엔젤만증후군 아동의소변보기 향상에 미친 영향
- 가족지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 효율적인 지식경영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 시각손상 아동의 효율적인 운동수행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모형 고찰
- 프래자일 엑스 증후군의 원인과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을 위한 교수적합화의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과의 관계 연구
-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고찰
- 경남장애유아 조기교육 실태 조사
- 신체접촉원조(Soft Touching Assistance)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자폐성아동의 자발적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