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중학습 방법이 엔젤만증후군 아동의소변보기 향상에 미친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Massed Practice on the Independent Toileting of Children with Angelman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경옥 한경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3호, 77~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전에 전통적인 시간관리 방법으로 소변지도를 받았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던 3명의 엔젤만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Azrin과 Foxx(1971)에 제안했던 집중학습 소변지도 방법을 수정ㆍ보완하여 소변보기 훈련을 실시한 결과를 보고자하였다. 비동시적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실시하여 소변보기 훈련을 학교와 가정에서 부모와 교사가 실시하였다. 훈련 결과, 2명의 아동은 만족스러운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다른 한명의 아동은 좀더 장기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변보기와 관련하여 아동의 현재 언어 발달 수준을 고려한 의사표현 방법을 소변지도가 이루어지는 동안 실생활 속에서 동시에 지도하였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효과의 한 요인이라고 여겨진다. 즉, 소변보기 행동과 그림이나 몸짓 등을 활용한 소변지도는 소변보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 확장의 의미도 가질 수 있다고 하겠다. 이 연구의 결과 중증장애 아동들의 기본적인 일상생활기술과 관련한 현장 적용 프로그램의 보급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고 소변지도와 이에 대한 기본적인 자기 통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아동과 가족, 아동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집중적인 훈련과정과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 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ssed practice on the independent toileting skills of children with Angelman syndrome who had not been successful to a traditional toilet program. Three children with Angelman syndrome were participated in the massed toileting practice that were revised from a method suggested by Azrin & Foxx(1971). Using a nonsimultaneous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the children were taught both in school and at home by teachers and parents.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was successful to the two participant children, but the third participant was not, though. It was worth pointing out that the program had been implemented in the contexts of children’s daily life activities while teaching them expressive communication skills. In other words, toilet program that incorporated toilet use modeling, picture use, and gesture use seemed to be effective and might extend communication skill repertoire of children. Findings also suggested the need of development and systematic dissemination of effective self-care progra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 꾸미기를 통한 SLI와 일반아동의 결속장치와 형태론적 어휘 산출 비교
- 집중학습 방법이 엔젤만증후군 아동의소변보기 향상에 미친 영향
- 가족지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 효율적인 지식경영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 시각손상 아동의 효율적인 운동수행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모형 고찰
- 프래자일 엑스 증후군의 원인과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을 위한 교수적합화의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과의 관계 연구
-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고찰
- 경남장애유아 조기교육 실태 조사
- 신체접촉원조(Soft Touching Assistance)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자폐성아동의 자발적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