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과의 관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for Children wit Cerebral Palsy in Elementary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순길 조증열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9권 제3호, 171~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관련된 변인들(읽기, 쓰기, 이해력, 어휘력)과 음운인식(음절탈락, 음절수세기, 초성음소변별, 종성음소변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관련변인들과 음운인식 변인간의 상관관계와 읽기관련변인들을 가장 잘 예언해주는 음운인식 변인이 무엇인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읽기관련변인에서는 어휘력이 가장 높은 성취수준을 보였으며, 음운인식 변인에서는 음절인식이 음소인식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를 보였다.둘째,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관련변인들과 음운인식과의 상관을 보면 모든 변인들과 높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셋째,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를 예언하는 변인은 음절수세기이며, 쓰기를 예언하는 변인은 초성음소변별, 이해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초성음소변별과 음절탈락이고, 어휘력을 예측하는 변인은 음절수세기로 나타났다. 즉 음절수세기가 읽기와 어휘력을 예언하는 변인이고, 초성음소변별은 쓰기와 이해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reading, spell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vocabular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elementary special school. This study was also concerned with finding out what primary factors of phonological awareness are best at predicting reading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erebral palsied showed high achievement syllable awarenes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of reading variable.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for the cerebral palsied Third, it can be concluded that syllable awareness can greatly predict reading and whereas onset-phoneme distinction was more significant in predicting spelling, onset-phoneme distinction and syllable exclusion was more significant in predicting comprehension of sentences, counting numbers of syllables was more significant in predicting vocabulary for the cerebral palsi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야기 꾸미기를 통한 SLI와 일반아동의 결속장치와 형태론적 어휘 산출 비교
- 집중학습 방법이 엔젤만증후군 아동의소변보기 향상에 미친 영향
- 가족지원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자폐아 중재에 관한 국내 연구 분석
- 효율적인 지식경영에 대한유치원 교사의 인식 분석
- 시각손상 아동의 효율적인 운동수행을 위한 생태학적 평가모형 고찰
- 프래자일 엑스 증후군의 원인과 특성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아동을 위한 교수적합화의 이해 및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 수학적 게임이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 지체부자유학교 초등부 뇌성마비 아동의 읽기와 음운인식과의 관계 연구
- 장애유아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고찰
- 경남장애유아 조기교육 실태 조사
- 신체접촉원조(Soft Touching Assistance)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자폐성아동의 자발적 의사표현행동에 미치는 효과
- 우리나라와 독일의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병원학교의 운영체제에 관한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