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cognitive process factor that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deaf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상배 이광렬 안성우 김정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69~18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운에 대한 접근이 제한된 농학생도 음운인식 능력을 발달시킨다는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할 수 있는 인지 과정 하위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B시에 있는 농학생 31명이었다. 이 학생들의 음운인식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민감하게 측정하도록 개발한 음운인식 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인지 과정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Das와 Naglieri가 개발한 인지사정체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과 인지 과정 능력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 과정 하위 요소와 음운인식 능력 간에는 연속적 처리 능력과 음운인식 능력 간에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인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소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속적 처리 능력이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 발달을 가장 잘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at what sub-cognitive process abilit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mong deaf students. Phonological awareness test which is tailored to assess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mong deaf children was developed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finding. Cognitive Assessment System designed by Das and Naglieri was administered to individual deaf student. Results were that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overall cognitive process ability and that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and successive process ability among cognitive process ability in deaf students. It turned out that successive cognitive process ability is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dea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 다운증후군 자녀 안면성형수술에 대한 부모의 견해 조사
-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 체육과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이해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아 진단 직후 조기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