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이용수 3
- 영문명
- Role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for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하여 개별화교육계획이 어느 정도로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문제는 1) 특수교사들은 장애아동이 통합되는 과목의 개별화교육계획안을 개발하고 있는가? 2) 특수교사들은 장애아동의 통합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일반교육과정 접근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3) 개별화교육계획안은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지원 계획을 반영하고 있는가? 4) 개별화교육계획안이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였다. 경기도와 충북의 특수학급 담당교사 84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5명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합학급의 통합되는 과목의 개별화교육개발안이 개발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2) 많은 특수교사가 통합학급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전략을 활용 가능할 정도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 3) 개별화교육계획안은 교수환경이나 또래학습과 같이 통합학급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일반교사에게도 권유하는 편이다. 그러나 교수목표나 평가의 수정 같이 개별 수업에 따른 지원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는 것은 잘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4) 일반교육과정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이 활용되지 않는 이유는 공동협력의 문제와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양식 (form)도 일반교육과정접근 전략을 포함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이 일반교육과정에 접근하려면 다양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지원계획이 개별화교육계획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지는 않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EP's role is related to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 1) do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 IEP for inclusive class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 in, 2) to what ext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ly instructional adaptation in development of IEP for inclusive classroom 3) to what extent IEP includes instructional adaptation plan 4) what barriers are related to IEP development for access to general curriculum. Data collection procedure inclu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84 special education teacher of inclusive school in U-Jeong-Bu and Chungbuk area responded survey, and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interview.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1) majority of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develop IEP for inclusive classroom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poses enough knowledge for applying instructional adaptation in development of IEP for inclusive classroom, 3) majority of respondents responded IEP did not include instructional adpatation plan for inclusive classroom 4) the barriers to lack of adaptation plan in IEP includes problems wit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with IEP for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 다운증후군 자녀 안면성형수술에 대한 부모의 견해 조사
-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 체육과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이해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아 진단 직후 조기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