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Perception for the Manual Training·Home Economics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the School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현주 이해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93~11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기술·가정교과의 운영실태 및 개선점 알아보기 위해 전국 13개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사를 대상으로 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에서 교과학습의 목적은 생활기술 습득이며, 교과의 중요성은 독립생활 준비와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교과 통합은 시각장애학생들의 학습 부담감을 줄였고, 교사들의 교과지도에 대한 만족감과 자신감은 높았다. 둘째, 기술·가정교과의 운영 실태는 교과의 운영은 전공교사가 한 학급 교과 전담하며, 교과서 구성과 내용은 만족하지 못하며, 이유는 장애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교재의 구성이었다. 교수학습방법은 강의 문답식을 사용하고 실기수업방법은 개별 및 조별지도로 하며 참고자료는 교사용 지도서를 이용했다. 또한 수업지도 시 애로점은 적절한 교재의 부족이며, 교사들의 수업만족감은 높았다. 교과서 외에 사용하는 수업매체와 제작하여 사용하는 수업매체는 실물 및 표본이며, 필요한 수업자료로는 실물모형이다. 실습수업의 운영은 한 달에 한 번 이상으로 하고 있으며, 실습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학습평가의 반영 비율은 낮았다. 셋째, 기술·가정교과의 교사인식 및 운영 실태에 대한 개선점으로 효율적인 교과교육을 위해서 다양한 학습 자료와 특성에 맞는 교과지도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비전공교과 지도의 문제해결은 연수기회의 확대이며, 실습수업 실시의 어려움은 장애를 고려한 기자재부족이며, 요구되는 해결과제는 충분한 실습교구와 실습시간을 지적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lighten the teacher's perception for the manual training·home economics and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of the manual training·home economics intended for the 13 visually handicapped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s of text learning the acquirements of living technique and, the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vings and living qualities are regarded as of importance. The integration of curricula reduced the burdens of the visually handicapped's learning but magnified teacher's self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Second, in the actual state of manual training, home economics, a majoring teacher is totally in charge of a class, but is not satisfied with the formation and the content of the text owing to not considering the traits of handicaps.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by way of lecturing and, questioning and answering. The method of practical training are carried out according to groups and the teacher's guidances are used as references. The difficulty lies in the lack of text books, but the teacher's satisfaction is high. Among learning materials, there are text books,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actual objects and samples, and among required learning materials, there are actual models. The management of practical class is carried out once or more a month and is recognized as necessary but the reflection rate of learning evaluation is low. Third, as for the needed improvement factors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and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he subjects' manual training·home economics, there are needs for various learning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s of effective learning guidances suitable for effective education.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solving non-major curricula is regarded as the enlargement of opportunities and the difficulties of class establishment are due to the lack of equipment considering handicaps and required solving problems are sufficient performance equipment and hou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 다운증후군 자녀 안면성형수술에 대한 부모의 견해 조사
-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 체육과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이해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아 진단 직후 조기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