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Statue and Needs of Future Direction and Job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인숙 김형일 박재국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진로ㆍ직업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에서 추천받은 46명을 면담자로 구성하고, 재학생 및 졸업생이 취업하고 있는 기관의 고용주 및 동료를 대상으로 장애인의 고용관련 현황과 요구를 중심으로 직접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에 따른 진로ㆍ직업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와 기업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현장실습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직업평가를 통해 강점을 발굴하고, 이에 따른 개별화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현장의 추수지도를 위한 진로ㆍ직업교육 담당 교사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고용업체의 평가에 의한 예산지원 및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the statue and needs of future direction and job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We used an interview survey as the general study method. In case of the interview survey, interviewers were 46 committee members selected from different disability fields and 16 cities and provinces. Interviewees were employers, co-workers, an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hemselves. The results of interview survey were analyzed by frequency study and record method from the selected quotations. As a result of interview survey, First, We should reinforce relations between school and company and enlarge field job training. Second, we try to find a point of excellence through vocational evaluation, and then we should do IEP. Third, we need disposition and cultivation of future direction and job consulting experts, Forth, Base on the evaluation of employment business, continuous budget support and encouragement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진로ㆍ직업교육의 개선 방안
Ⅴ.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 다운증후군 자녀 안면성형수술에 대한 부모의 견해 조사
-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 체육과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이해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아 진단 직후 조기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