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Review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systems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경숙 이영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67~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교원임용제도의 개선방향에 따라 구체적인 임용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미국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제도 및 정책에 따른 임용제도와 절차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국내의 교원 양성 및 임용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미 연방법으로 시행되는 교육법들에서 명시한 교원의 자질에 대한 부분과 일반적인 교원 임용 체계를 알아본 후, 특수교사 임용과 관련한 자격증 및 임용 제도의 실제를 확인하기 위해 지리적제도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국 내 세 개의 주(캔자스, 뉴욕, 워싱턴 주)를 선정하여 각 주에서 이루어지는 자격증 제도와 임용 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개의 주에서는 초기 자격증을 발급받고 주에서 정한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어 상위 자격증으로 승급하는 다단계 자격증 제도를 채택하고 있었으며, 상위 자격증으로 승급하기 위해서 각 주에서는 수행 평가 등 현장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 및 평가 제도를 마련하고 있었다. 또한 초기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시험으로는 미국 교육평가원에서 주관하는 전국 규모의 시험, 해당 주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험,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시험을 함께 사용하는 등 세 개의 주에서 각기 다른 제도를 채택하고 있었다. 국내 특수교사 양성 체제에 대한 제언으로 첫째, 특수교육 교원 양성에 있어서 교과 내용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하고 둘째, 보다 실제적인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 examinations and certification systems in the U.S. and to suggest practical guidelines for those in Korea. The concept of highly qualified special education teacher under federal education laws as well as the desired role and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fined by department of labor were introduced by and then state-level special education teacher examin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s were explained in detail. With due regard to geographic location and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three states were chosen, including Kansas, New York, and Washington. From the results of the review,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Korea and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특수교사의 자질 및 임용절차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생과 읽기·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행기능 특성 비교
- 미국 특수교사의 자격 및 임용체제 고찰
- 특수교육대상자의 졸업 후 지역사회 고용에 따른 진로·직업교육 개선방안
- 통합교육에서 장애아동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활용 문제
- 다운증후군 자녀 안면성형수술에 대한 부모의 견해 조사
- 농학생의 음운인식 능력을 설명하는 인지 과정 하위 요인 연구
- 체육과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학교 기술·가정교과에 대한 교사인식 및 운영실태
-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있어서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지도실태 및 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 이해과정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장애아동 조기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아 진단 직후 조기지원에 관한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