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cognitive process between non-disabled,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정은 김자경 정세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4호, 213~2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아동,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아동 20명, 학습장애아동 17명과 지적장애아동 17명을 대상으로 CAS(인지사정체제)를 이용하여 이들 집단의 인지과정 특성을 파악하고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체 인지기능과 PASS 척도(계획기능, 동시처리, 주의집중, 순차처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분석 결과, 계획기능과 주의집중 척도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동시처리와 순처처리척도에서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학습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 집단의 인지과정상의 강점을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the cognitive process among non-disabled,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54 elementary school(non-disabled : 20, learning disabilities: 17, intellectual disabilities: 17). This study used CAS(Cognitive Assessment System) to analysis of their cognitive proces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otal cognitive process and 4 PASS factors(planing, attention, simultaneous process, successive process) among groups. Second, planning function and attention factors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among groups. Simultaneous process and Successive process factors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non-disable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의 보조공학 관련 법률 고찰
-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우 선호 경향에 대한 연구
-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아 가족의 삶에 있어 심리적 경험양상과 교육적 함의
- 아동의 연령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과 글자지식 특성 연구
-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비교
-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