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Concept Mapping for Research about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상희 홍성두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4호, 231~2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연구에 있어서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개념도 연구법은 집단의 구조화된 논의를 촉진해주는 질적인 과정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호 협력적으로 논의한 주제에 대한 개념구성을 개념지도(concept map)로 보여주고 동시에 통계 분석도 병행하는 질적·양적 혼합방법(mixed-methods)접근이다. 개념도 연구법은 질적 방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이 생각하는 풍부한 경험적 자료를 이끌어내고, 양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보의 개념적 조직화와 구조화를 해석하기 때문에 조사자와 평가자, 기획가들에게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개념도 연구법은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직접적인 검증의 어려움, 참여자의 특성과 촉진자의 특성을 통제할 수 없는데 따르는 오류들, 어떻게 그들이 다른 집단의 사람들과 관련되고 중요시되어져야 하는지의 대표성 문제 등 일정정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개입하는 특수교육관련 분야에서 복잡하고 어려운 개념을 서로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조화하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수평적 의사결정을 함께 생각하여 합의를 이끄는 개념도 연구법은 적극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in the research of special education. Concept mapping can be considered a structured methodology for organizing the ideas of a group or organization, to bring together diverse groups of stakeholders and help them rapidly form a common framework that can be used for planning, evaluation, or both. It can be considered a type of integrated mixed method because it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ponents are inextricably interwoven to enable a diverse group of stakeholders to articulate their ideas and represent them in a variety of quantitatively derived visual results(concept map, pattern matches, value plots) that can be used in reaching both awareness of the issues at hand and agreement on how to proceed. Though concept mapping has a few disadvantage, we could apply the method in actual research of speci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개념도 연구법의 이해
Ⅲ. 특수교육분야에서의 개념도 연구법 적용의 함의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의 보조공학 관련 법률 고찰
-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우 선호 경향에 대한 연구
-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아 가족의 삶에 있어 심리적 경험양상과 교육적 함의
- 아동의 연령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과 글자지식 특성 연구
-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비교
-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