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 Teacher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Their Role Cognizanc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영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4호, 175~1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자율장학과 역할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율장학과 역할인식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대구, 충남, 충북, 경북, 전남 지역의 국공립 및 사립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무선 표집하여 선정한 다음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예비조사를 실시한 다음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은 국공립 특수학교 교사가 사립 특수학교 교사보다 더 높으며 학력별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특수학교 교사들이 대졸 특수학교 교사보다 자기장학의 수행에서 높다. 그리고 교직경력이 11년 이상의 교사가 교직경력이 1-5년, 6-10년의 교사보다 유형공통, 동료장학 및 자기장학의 수행에서 더 높다. 둘째,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수행은 국공립 특수학교 교사가 사립 특수학교 교사보다 연구자 및 행정업무자의 역할인식이 높고 학력별로는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대졸 교사보다 연구자의 역할인식이 높다. 또한, 교직경력이 11년 이상 교사가 1-5년의 경력 교사보다 관찰자로서의 역할인식이 더 높으며 지역적으로는 군면단위의 특수학교 교사가 대도시 및 중소도시 특수학교 교사보다 행정업무자의 역할인식이 높다. 셋째,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과 역할인식의 하위변인 간에 긍정적 상관이 있다. 즉, 자율장학과 역할인식 간에는 모두 긍정적인 상관이 있어서 자율장학의 모든 유형을 잘 수행함으로써, 교사의 역할인식은 분명해 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their role cognizance.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their role cognizance were also examined.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pecial school teachers.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in earlier studies were modified for the use of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pilot survey and doing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It was also amended after discussing with special school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2 teachers in Seoul, Busan, Daegu, Chungnam Province, Chungbuk Province, Gyungbuk Province, and Chonnam Provinc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level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were high in gener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stitution, scholastic ability, and career. The accomplishment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ublic special schools was higher than those in private schools. Moreover, the higher the teacher's career and scholastic ability, the higher their accomplishment level. Second, the level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cognizance were excellent. However, the level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cognizance in public special schools were higher than those in private special schools. In addition, the level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cognizance in countri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cit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onomous supervision performance and their role cogniz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의 보조공학 관련 법률 고찰
-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우 선호 경향에 대한 연구
-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아 가족의 삶에 있어 심리적 경험양상과 교육적 함의
- 아동의 연령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과 글자지식 특성 연구
-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비교
-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