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Reading Aloud Approach on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영미 박현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4호,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책 읽어주기 활동은 음성을 통해 들려지는 소리를 듣고 읽기 이해력과 듣기 이해력 증진을 가져오는 등 아동의 언어발달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5·6학년 읽기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12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게는 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제집단에게는 전통적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게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공분산분석을 한 결과, 실험집단의 읽기 이해력 중 전반적 및 적용적 읽기 이해력 그리고 듣기 이해력 중 전반적 및 사실적·추론적 듣기 이해력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사실적·추론적 읽기 이해력과 종합적 듣기 이해력은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책 읽어주기 활동을 적용해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ading aloud approach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of elementary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ampled 20 elementary 4th to 6th graders with reading disability and divided them equally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 to 12 sessions (each 40 minutes) of the reading aloud activity, while the control group was subject to an traditional reading instruction. Through pre and post test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NCOVA utilizing pre-test scores of both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n reading comprehension(total & applicable) and listening comprehension(total, factual, & inferential), exhibiting mor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ositive tendencies of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on factual and inferential reading comprehension and on comprehensive listening comprehension. This implies that it is deemed necessary to use the reading aloud approach for the elementary intermediate graders with reading disability to improve their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의 보조공학 관련 법률 고찰
-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우 선호 경향에 대한 연구
-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아 가족의 삶에 있어 심리적 경험양상과 교육적 함의
- 아동의 연령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과 글자지식 특성 연구
-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비교
-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