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Perception with Deaf Education in Korea of the Korean Deaf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Gallaudet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0권 제4호,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에서 유일한 농종합대학교인 미국의 Gallaudet University에는 현재 한국의 농대학생 4명이 재학하고 있다.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과 집단별 면담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제시한 결과에서 제시된 한국 농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농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의 수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있었다. 그리고 한국수어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의 필요성, 농학교에 농인교사의 배치에 대한 강한 욕구, 농사회의 농학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참여의 필요성, 그리고 세계화를 대비한 미국수어 교육의 현실성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유학 후에 귀국하여 한국 농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싶다는 의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with deaf education in South Korea of the Korean deaf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Gallaudet University, Washington DC, USA, which is a unique university for the deaf in the world. Four Korean deaf students, three male junior and one female male,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problems of the Korean deaf education are the limitation of the hearing teachers' understanding to deaf students, the lags of the sign language skills, the limitation of the curriculums of the Universities which have the department of the pre teacher education for special educator, and emphases on oral teaching; (b) the needs to develop Korean deaf education are linguistic study on Korean Sign Language, deaf teachers and hearing teachers are the level of 50 : 50, inter-understanding with hearing society and deaf society, and participation of the deaf community to deaf education; and (c)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globalization in deaf education is to open the American Sign Language classes. They would like to make contribu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eaf education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의 보조공학 관련 법률 고찰
-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교우 선호 경향에 대한 연구
- 일반아동과 학습장애,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과정 특성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자율장학 수행 및 역할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장애아 가족의 삶에 있어 심리적 경험양상과 교육적 함의
- 아동의 연령과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과 글자지식 특성 연구
- 미국 Gallaudet University에 유학 중인 한국 농학생의 한국 농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특수교육연구에 있어 개념도 연구법의 적용가능성 탐색
-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실천적 지식, 실행 수준과의 관계
- 정서행동장애학생의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스트레스 분석
- 지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비교
- 장애대학생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