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kindergarteners’ problem behaviors and basic life ski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영선 정길순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27~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 전체 67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일과 중 문제 발생상황(통학차량, 이야기나누기 시간, 점심시간, 계단통행 시간, 화장실 사용 시간)에서 각각 실행되었다. 유치원 수준의 보편적 지원은 유치원 규칙 선정, 규칙에 대한 교수, 유치원 규칙 게시, 기대행동 수행에 대한 격려 및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교정, 집단 강화, 환경의 구조화를 포함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으로 유치원 전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료는 사건 기록법 으로 수집하여 사전ㆍ사후 총 문제행동 발생 빈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치원 전체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기본생활습관 평가 점수의 사전과 사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수준의 보편적 지원으로 유치원 내 문제상황에서 전체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n-academic word identify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kindergarteners’ problem behaviors and basic life skill. Also this study was targeted to 67 kids and the study was about the problem behaviors and basic life habits of children. The universal support that Kindergarten will be offered with Kindergarten rule selection, professor of the rules, the rules posted kindergarten, pre-calibrated for the encouragement and problem behaviors performed on the expected behavior, group consolidation, and included a structured environment. The researchers recorded and analyze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problem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BS. Results showed that this investigation was that the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increasing basic life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 교수 실제 및 지원 방안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 아동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력과 관련 요인 분석
- 심리운동중재를 통한 줄넘기 교육이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아동의 운동협응성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지하는 학령기 교우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분석
- 장애학생의 학교급간 전환 관련 국내 연구동향 고찰
- 유치원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
-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 대상 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에 의한 연구방법의 분석
-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 The Effects of Tutor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Obse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Echoic Respon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ASD
- 단순언어장애의 인지 및 정보처리 결함 프로파일과 관련한 문헌 고찰
- 통합교육환경에서 AAC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 문장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