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n Involvement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미숙 양소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69~1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학교에서의 부모참여는 다른 학교급에서의 부모참여 보다도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의 부모참여는 장애아동의 교육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12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13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전반적 인식, 필요·효과성에 대한 인식, 운영실제에 대한 인식, 지원요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아동 부모의 참여에 대한 필요 및 효과성에 대해서는 강한 인식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장애아동 부모의 참여를 위한 지원요구도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에 비해 실제 장애아동의 부모참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는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아동의 부모참여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부모참여에 대한 연수가 제공되어야 하며, 장애아동 부모 스스로도 참여를 위한 의지가 향상되어야 하고, 통합학급·특수교사·학교 관리자와의 협력을 통해 부모참여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garding parent invol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13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rom 12 elementary schools, and they study looked over perception regarding general perceptions, effectiveness, practice, and supports of parent involvement. In results of the study,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showed the 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effectiveness and supports of parent involvement, but the level of practice of parent involvement was low. As well,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quested to provide teachers training about parent involvement, to enhance willpower of the parents about parent involvement, and to improve the cooperation among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 교수 실제 및 지원 방안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 학령기 인공와우 아동의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력과 관련 요인 분석
- 심리운동중재를 통한 줄넘기 교육이 발달협응성장애를 보이는 지적장애아동의 운동협응성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대학생이 인지하는 학령기 교우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분석
- 장애학생의 학교급간 전환 관련 국내 연구동향 고찰
- 유치원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 건강장애학생의 신체기능과 적응유연성의 관계
-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 대상 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에 의한 연구방법의 분석
- 초등학교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부모참여에 대한 인식
- The Effects of Tutor Training on the Acquisition of Observational Learning and Improvement of Echoic Respon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ASD
- 단순언어장애의 인지 및 정보처리 결함 프로파일과 관련한 문헌 고찰
- 통합교육환경에서 AAC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 문장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