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적용에 대한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Research on Use of the Diagnosis·Evaluation Professional Model and Database for Determination the Type of Disabil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성규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89~1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하여 개발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과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에 대한 효율성과 개선방안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된 이 연구 참여자는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을 개발하는 과정에 함께 참여한 5명의 특수교사이다. 연구 참여자는 1년 동안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과 데이터베이스를 발달장애학생의 진단·평가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와 수행한 개별 면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은 과학적 결과의 도출로 이해되었다. 둘째, 검사결과의 확실성과 신뢰도는 보장할 수 있으나, 동종의 다른 검사도구와 호환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셋째, 다른 검사도구와 호환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진단․평가 결과에 기초한 교육적 지원이 함께 지원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이 개선방안으로 제안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또한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적 개발과 수정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ffective and improve plans after use of the diagnosis·evaluation professional model and database for determination the type of disabil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Metho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for this study. Five special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ere participated. Also the special teachers participated as professional team to develop the diagnosis·evaluation professional model and database for determination the type of disabil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Results: The results with interview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model was understood as a scientifical material to ensure the effective results; (b) the model was effective to get the predictable and reliability, however was not effective in non-compatible with other same type of test materials; and ( c) the improve plans to the model were the compatible method with other same type of test materials, and how to suggest the educational suppo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is·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e mode was studied and revised consistent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규. (2016).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적용에 대한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 (4), 89-108

MLA

최성규.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적용에 대한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8.4(2016): 89-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