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청각장애유아 어머니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Qualitativ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impaired for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오혜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151~17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청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정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의사소통 기술 전략에 대한 가정방문 형태의 가족지원을 받고 가정중재를 경험한 이후에 나타난 변화를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각장애유아를 자녀로 둔 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6개의 관련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청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가족지원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종전의 부모교육과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들의 요구나 필요에 의한 가족지원이나 가정중재를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의 개념과 이점, 그리고 중요성을 이해하고 난 후에는 가족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으며, 실제로 관련 연구에 참여하여 청각장애자녀를 대상으로 가정중재를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가족지원을 받고 가정에서 직접 청각장애 자녀에게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가정중재를 실행한 이후에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청각장애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법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비장애 자녀의 정서적 안정감,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장애자녀를 둔 가족들의 요구를 반영한 가족지원 실행의 효과와 그에 따른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이나 지역사회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족지원의 정도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를 반영한 정책적인 강화와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paper aimed to explor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for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and also to find out their chang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intervention. Method: Three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had in-depth interviews and two subjects and six categories were draw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interview data analyse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n’t know the accurate conception of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and they just recognized it as the previous general parents education. They show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amily support program after they understood the conception, advantage and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executed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for their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Through the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executed, the mothers’ conception for family supports have been changed and their method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young children have been changed considerably as well. Besides, the emotional stability of non-disabled siblings has been improved and the mothers’ self-confidence for their young children-rearing has also been improved. Conclusion: This research emphasized the effect and necessity of the family support reflected the demands of fami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s of family support which haven been executing in special education field or in community. It is also emphasized the political reinforcement and practical support ref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needs to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수화 동시통역 과정에서의 생략현상과 통역방향성과의 관계 연구
-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적용에 대한질적 연구
- 과학신문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과학 글쓰기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효과
-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청각장애유아 어머니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 학교폭력 위험성이 있는 청소년의 가해경향과 피해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하위유형
-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분석
-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 탐색
-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향후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