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신문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과학 글쓰기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ability and on-task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science writing program using scientific articl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선옥 이옥인 송민철 김운지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177~2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에게 과학신문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업성취 및 과제수행행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중재의 효과검증을 위해 D시, J시에 위치한 2개의 특수학교 고등학교와 공립 고등학교에서 시간제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 3명에게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로 투입된 과학신문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 내용은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고등학교 과학과 학습내용과 연계되어 있으며, 참여한 지적장애 학생들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한 내용을 인터넷상의 과학 신문에서 발췌하여 재구성하였다. 중재의 효과크기 분석은 기초선과 중재 간 평균, 범위, 경향선, PND값, Tau-U를 산출하였으며, 유지구간의 평균, 범위, 경향선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별 과학 글쓰기 성취 결과는 세 명 학생 모두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효과는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수행행동 결과도 세 명 학생 모두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생 A와 B는 중재효과가 유지되었으며, 학생 C는 유지구간에 중재효과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how a science writing program using scientific article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and on-task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applied to thre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enrolled in part-time special education classes of two different types of schools to verify the intervention effects; One is a school and another is a high school located in city D and J. The intervention contents applied to a science writing program using scientific articles were connected to learning contents of the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in 2011」 policy for high school science courses. The contents were extracted and restructured from online scientific articles based on abilities and interes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rough effect-size analysis for the intervention, base line, means between the interventions, range, trend line, PND value, and Tau-U value were calculated and means, range, trend line during the sustain period were calcul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cience writing achievement for each participant indicated that all the three students had an intervention effec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Moreover, it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still maintained. The on-task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all the three students had intervention effects and signifi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 intervention effects of student A and as student B were also maintained, and the intervention effects of student C were improved during the maintai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수화 동시통역 과정에서의 생략현상과 통역방향성과의 관계 연구
- 발달장애학생의 장애유형 결정을 위한 진단·평가 전문가 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적용에 대한질적 연구
- 과학신문을 활용한 과학 글쓰기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과학 글쓰기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효과
-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청각장애유아 어머니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 학교폭력 위험성이 있는 청소년의 가해경향과 피해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하위유형
- 중학교와 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인식 분석
-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 탐색
- 한국의 장애학생 스마트러닝 지원 정책 현황과향후 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