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to improve math calculation and planning for children at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자경 강혜진 김기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21~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과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를 실시하였는데, 7회기 동안 수학연산을 효과적으로 계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중재 사전-사후검사로 수학 성취도 검사(BASA-Math)와 인지처리 검사(CAS 계획기능)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를 실시하는 매 회기동안 수학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BASA-Math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AS 계획기능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계획기능 수준에 따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의 회기별 수학평가 점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계획기능 수준이 높은 집단은 수학평가에서 점수가 향상된 반면 계획기능 수준이 낮은 집단은 점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즉,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는 연산능력과 계획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특히 계획기능 수준이 높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for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for 7 sessions, which was designed to encourag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planning for math calculation. Standardized tests of math achievement(BASA-Math) and cognitive processes(CAS-Planning) were administerd pre-post intervention. Students completed math worksheet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hase.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math calculation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planning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ird, according to planning scores, low- and high planning groups were identified, and the improvement in two groups' math scores were compared using math worksheets. The low planning group had not s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h worksheets, while the high planning group had improved. Conclusion: A cognitive strategy intervention based on PASS was effective to improve math calculation and planning of children ar risk for math learning disabilities, especially high planning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자경,강혜진,김기주. (2016).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 (4), 21-37

MLA

김자경,강혜진,김기주. "PASS 기반 인지전략 중재가수학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수학연산 능력 및 계획기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4(2016): 2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