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through Visual Support of Supervisors in Private Enterprise on Task Intensive Ability for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영준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55~8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족발제조 기업체에 2~3년째 재직하고 있는 지적장애 근로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대상과 기업체에서 함께 근무하는 상사를 교수자로 참여시켰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기법 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로 구성되었다. 실험 환경은 기업체 내 직무실과 휴게실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은 중재 준비의 차원으로 상사가 기업체에서 연구 대상들에게 적용할 두 가지의 시각적 단서(사진 수첩, 스마트패드 내 동영상)을 제작하여 비슷한 장애 특성을 가진 지적장애 협조인에게 시범적으로 시연해 보는 연수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기업체 내에서 상사와 연구 대상들은 직무실과 휴게실을 오고가면서 사진 수첩을 통한 상사 모방, 사진 수첩을 통한 언어촉진, 사진 수첩을 통한 독립 시연, 스마트패드 내 동영상 시청의 순으로 중재를 전개하였다. 종속변인은 연구 대상이 기업체에서 현재 담당하는 업무보다 심화된 수준의 직무기술이란 차원에서 직무심화능력의 용어를 표면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족발제조의 수행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포함한다. 자료 측정은 연구 대상들에게 중재가 제공된 후에 실시되었으며, 부수적으로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의 측정이 연구 방법상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 3주가 지난 시점에서 역시 목표행동의 수행이 완전한 정반응 수준인 100%의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과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 간에 상호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through visual support of supervisors in private enterprise on task intensive ability of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working for pork hock manufacturing enterprises for 2~3 year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supervisors of the selected subjects who work at the same enterprises participated as instru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two areas including task room and rest room in workplace. As independent variables, two visual cues (pocket photobook and video on smart pad) to be applied by the supervisors to the subjects were made. A training program was devised to demonstrate visual cues on a person who has similar intellectual disability as the subjects. The supervisors and the subjects executed intervention in the office and lounge in the order of supervisor modeling through pocket photobook, verbal prompting through pocket photobook, independent demonstration using pocket photobook and watching of video on smart pad. As for dependent variables, terms of intensive task abilities were used because the target task skill is more intense compared to current tasks of the subjects. This includes operational definition of pork hock manufacture. Results: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task intensive ability,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the subjects effectively maintained the target behavior acquired until 3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HRDP) through visual support of supervisors in private enterprise and task intensive abilities of work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 (2016).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 (4), 55-88

MLA

김영준. "민간기업 내 상사의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인적자원개발프로그램(HRDP)이 지적장애 근로자의 직무심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8.4(2016): 5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