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화교육계획(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이 장애 초등학생의 IEP 회의 지식 및 기술,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tudent Involvement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EP) Meeting on the IEP Meeting Knowledge and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Elementary-A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우세진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31~1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이 그들의 IEP 회의 지식과 기술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2명(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이었다. 장애학생의 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은 IEP 관련 국내외 문헌들을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IEP 회의 지식 및 참여 기술 검사, 학생용과 교사용 자기결정력 검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IEP 회의 지식은 통제집단 학생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 초등학생의 IEP 회의 기술은 중재 전에 비하여 중재 후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셋째, 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은 통제집단 학생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IEP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한 국내 첫 실증적 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ogram to promote student involvement in IEP meeting on the IEP meeting knowledge and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elementary-a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1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11 lessons and was implemented for 10 weeks. Results: First, the IEP meeting knowledge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IEP meeting skills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mprove. Third,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was the first empirical study in Korea to develop and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promote student involvement in the IEP mee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를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및 선정·배치 실태와 질적 제고 방안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 특수학교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수업 실태 및 인식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 신문기사 분석
-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 특수교육에서의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및 접근 방안 탐색
- 개별화교육계획(IEP) 회의 참여 프로그램이 장애 초등학생의 IEP 회의 지식 및 기술,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 학년차원의 보편적 긍정적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통합교육공동체 인식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