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 신문기사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ws paver articles using Text mining: focused on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상아 최범성 최진혁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중재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우리 사회의 인식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분석대상은 2014년부터 2019년 9월까지의 신문기사 39건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에서 수집하고, 텍스톰과 UCINET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 사회는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중재와 관련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에 대한 용어는 발달장애인법이 통과된 후 범용적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요 단어 중 ‘발달장애’가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했다. 넷째, N-gram 분석에서 상위의 연관 있는 단어의 관계는 ‘발달장애-아동’, ‘발달장애-가족’, ‘발달장애-뇌’로 나타났다. 다섯째, 의미연결망 분석에서 영향력 있는 단어는 ‘발달장애’, ‘아동’, ‘치료’로 나타났다. 여섯째, CONCOR 분석으로 ‘발달장애 특징과 지원’, ‘조기중재’, ‘정부정책’의 범주별 주요 클러스터가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조기선별과 조기주재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의 인식을 탐색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ia the text mining method. Method: The analysis targets 39 newspaper articles from Jan. 2014 to Sept. 2019. Newspaper articles were ected through Big KindsⓇ and analyzed through Textom and UCINET. Result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terest in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maintained. Second,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rm was commonly used after the activa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Act. Third, the wor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Fourth, in the N-gram analysis, the relationship of upper related words was shown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 ch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amil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brain’. Fifth,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influential words appeared 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 and ‘therapy’. Sixth, the CONCOR analysis has divided the major clusters by the 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and suppor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early intervention’ and ‘government policy’.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find a way forwar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아,최범성,최진혁. (2020).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 신문기사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2 (1), 1-27

MLA

이상아,최범성,최진혁.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발달장애 신문기사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2.1(2020):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