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수업 실태 및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Class Status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선미 김은라 박재국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83~2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수업 실태를 파악하고, 수업의 각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교수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수교사가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수업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현재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고, 얻어진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의 계획단계에서 학생의 현행학습수준과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비표준화된 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일상생활 중심 내용에 중점을 두고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수업의 실행단계에서는 일대일 또는 수준별 소그룹 교수집단 구성으로, 주로 시범(모델링), 직접 교수, 실물자료와 영상자료 등을 주로 활용하였다. 수업의 평가단계에서는 개별화교육계획의 목표에 따라 월말 또는 학기 말에 학생의 학습 결과물이나 관찰내용을 토대로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수업에 대한 인식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중도·중복장애 학생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수준은 소속학교 설립유형, 교육경력, 중도·중복장애 교육과정 운영 유/무, 보조인력의 수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게 질 높은 수업을 제공하기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la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Homeroom teachers who are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an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currently guiding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ere using non-standardized methods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learning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during the planning phase of the class, and organized learning objective and learning cont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centered on daily training.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the class, a group of small-group professors was organized by one-to-one or level, mainly using piloting(modeling), direct teaching and physical and video materials. In the evaluation stage of the class,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ir study results or observations at the end of the month or at the end of the semester,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the IEP. Second,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was average.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veral variabl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tise in the class was improved and, ultimately, the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oviding quality classes to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미,김은라,박재국. (2020).특수학교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수업 실태 및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 (1), 183-214

MLA

박선미,김은라,박재국. "특수학교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 수업 실태 및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1(2020): 183-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