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이용수  0

영문명
Experiences and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for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곽은혜 노진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59~1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고, 개방 코딩을 통해 면담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전문가와의 협력, 가족지원, 사회·정서적 지원, 추수지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인적·물적 자원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및 컨설팅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Results: Two topics and 12 subtopic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said tha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 was necessary, but they thought that there was a lack of related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operation with experts, family suppor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guidance in follow-up. Second,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supports for teacher empowerm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development,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and consulting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n effective support plan for transition suppor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ransition support from the daycare center to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은혜,노진아. (2020).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2 (1), 159-182

MLA

곽은혜,노진아.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2.1(2020): 15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