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교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유형의 재구조화

이용수  0

영문명
Restructuring the Types of Special Classroom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강종구 강성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163~19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 배치되어 있는 장애학생에게 장애 유형에 상관없이 특수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특수학급 모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도장애, 중도장애, 신체장애 학생에게 제공될 수 있는 특수교육의 기준과 특수학급 유형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기준과 관련하여 장애학생의 참여시간, 장애 유형과 정도로 구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특수학급 유형은 학생의 특성, 학급 형태, 지원의 유형을 고려하여 통합형 특수학급, 집중형 특수학급, 독립형 특수학급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해서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늘어나는 특수교육적 요구에 현실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화되어 있는 특수학급 형태를 보다 전문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고, 특수학급의 운영 형태를 세분화함에 따라 다양한 특수교육적 요구에 대한 정책적 자원의 균형적인 배분과 특수교사의 전문화를 통한 업무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일반학교 내 독립형 특수학급의 설치는 소규모 특수학교 설립과 함께 충분한 논의 속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며 향후 포함식 통합교육 실행에 따른 변화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to propose various special classroom models that can be mad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tried to present special classroom models that can provide more integrated special education to students with various disabilities rather than a special classroom system centered on students with cognitive difficulties in South Korea. The study tried to deal with it by dividing it into special education service standards and special classroom types. Result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standard for special education de needed to be approached by dividing the participation time of special education target students, the ratio of teachers to students, and the types of disability.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special classroom types need to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tegrated special classroom, intensive special classroom, and self-contained classroo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classroom type, and type of application. Conclus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realistically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specialize and diversify the simplified special classroom types, and as the operation of special classroom is subdivided, a balanced allocation of policy resources for various special education needs and special work redu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eacher specialization. However, the value of self-contained classroom in general schools should be dealt with in sufficient discussion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small special schools, and chang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also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종구,강성구. (2021).일반학교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유형의 재구조화. 특수아동교육연구, 23 (1), 163-195

MLA

강종구,강성구. "일반학교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학급 유형의 재구조화." 특수아동교육연구, 23.1(2021): 163-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