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들의 개인차와 학습능력이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nfluences on teaching proficiency and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on students’ individual differences and learning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현석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의 당위성, 교직수행의 수업전문성, 교육과정 재구성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전국의 지체장애학교 교사 3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육의 당위성은 학습자의 개인차 10문항과 학습능력 10문항, 수업전문성은 수업설계 10문항과 수업실행 10문항, 그리고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육과정 인식 10문항과 재구성 방법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의 개인차와 학습능력 요인은 상호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지체장애학생의 개인차 요인과는 관련되어 있으나, 학습능력 요인과는 통계적 유의미가 없었다. 셋째,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학습자의 개인차에 대한 인식은 수업전문성을 매개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친다. 결론: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이해는 교직 수행능력을 견인하는 수업전문성으로 나타나며,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이 연구에서는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study in order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jus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the compet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urriculum reorganizing for teachers of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The data of 340 teachers in national school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justification of special education consisted of 10 questions for individual differences and 10 questions for learning ability, 10 ques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10 questions for instructional practice for competency, and 10 questions for curriculum recognition and 10 questions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Results: First,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learners and factors of learning abi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competency of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related to the factors of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factors of learning ability. Third, the perception of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of teach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fluences the reorganizing of the curriculum by mediating the competency fact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t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ppears as a competency that drives the ability to perform effective teaching, and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curriculum reorganiz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