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 대상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s on Low Achieving Students an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Meta-Analysis on Single Case Stud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동일 임진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된 단일대상연구물을 분석하여 철자 관련 교수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지 논문 19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Tau-U 효과 크기 계산법을 통해 연구별 효과 크기, 전체 효과 크기,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저학년군, 학습부진보다는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 중심 전략 혹은 읽기+철자 통합 전략을 사용한 교수가 많았고, 의미가 있는 말의 단위보다는 음운 단위로 철자 교수를 더 빈번하게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분석대상 논문의 전체 효과크기(Tau-U)는 0.9101로, 연구별 효과 크기는 0.7333부터 1.0000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별 효과 크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재 충실도 제시 여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중재 충실도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중재 충실도를 제시한 경우보다 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음운 단위와 의미 단위를 통합한 철자 교수가 더 개발되어야 하며, 신뢰로운 철자검사의 선정 및 중재충실도의 보고 등 중재연구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single case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spelling skill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ing students, and confirm the effects of spelling instructions. Method: For this study, 19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ntil September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ies and Tau-U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ffect sizes of individual studies, and those by controlling variables. Results: First, instructions for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structions focused on spelling strategies or those combining reading with spelling strategies were most frequently used, and instructions based on phonics were more frequently implemented than those based on semantics.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Tau-U) were turned out to be 0.9191, and the effect sizes of individual research were situated between 0.7333 and 1. Thirdly, only whether the study reported intervention fidelity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effect sizes among all controlling variables. In other words, the studies which did not report intervention fidelity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ose reporting it. Conclusion: The spelling instructions integrating semantics and phonic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overall quality of intervention studies including the selection of reliable spelling assessments and the report of intervention fidelity needs to be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