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내용영역 잡기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On Designing the Scope of Korean Skills in a KFL Curriculum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영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32호, 81~11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ssues on the scope of Korean skills in KFL curricula have not been discussed much, while a lot of discussions on this issue in the field of Korean as First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made since the 1st national curriculum. Now that the number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in designing a KFL curriculum for both integrated or specific purposes. Thus,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study and discuss the areas of Korean skills that should be taught in KFL programs, and to suggest the 3 main categories of the content. The main discussion is based on the systemic-functional grammarians view that the use of language system is to construe meaning. The main purposes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herefore, should be focused on the functional uses rather than the study of structure rules of the target language. To aim fluency and accuracy in using Korean, a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knowledge not only of the linguistic elements but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languag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o devide the KFL knowledge content into 3 categories; ‘discourse and function’, ‘structures and expressions’,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Korean language. These main areas are, again, sub-categorized with specific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elements.
목차
1. 서론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내용영역
3. 내용 영역의 하위 구분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능력시험의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연구
- 통역을 위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 한국어 관용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단원 제시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내용영역 잡기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평음/경음/기음에 대한 중국인의 지각적 범주 연구
- 미국 대학 한국어 강좌의 학습자 특성 연구
- 한국어와 몽골어의 동사상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문법 지식 내용 연구
- 문장부호의 기능적 개념 및 용법
-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 방안
-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
-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화행 실현에 미치는 영향
-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