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For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of Japanese(JC), Vietnamese(VC) and Korean(KC)

이용수  9

영문명
동아시아 한자어 대조 연구: 한국, 일본, 베트남어의 한자어를 중심으로 한 연구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김희경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38호, 149~18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0.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한자어에 대한 의미론적 재고를 목표로 한다. 한자 문화권에 있는 언어의 특징을 상호 비교, 대조하기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한자의 생성과 유래에 대한 기본 논의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언어에서 한자어의 역할에 대해 살펴 본다. 베트남, 일본, 한국의 한자어의 형태적, 의미적 분류를 시도한다. 동형한자어의 의미 변화에 대한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자어를 유의관계와 반의관계로 구분한다. 유의관계에 있는 한자어는 다시 중첩과 포함으로 나누어 살펴 본다. 본고는 한국, 일본, 베트남, 중국의 한자어를 의미론적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어에 쓰이고 있는 한자어는 기본적으로 고대 중국에서 도입한 것, 일본을 통해 전해진 것, 그리고 새로 만들어진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한국은 물론이고, 베트남과 일본 역시 한자 문명의 영향을 받아 자국어 내의 한자어가 어휘적 특수성을 띄고 있다. 본고는 이런 한자 어휘들 중에서 먼저 유의관계에 있는 항목을 대상으로 대치, 나열, 반의어와의 대조 등의 방법을 통해 분류한다. 이어서 한일, 한중, 한베 한자어 사전의 등재 어휘를 중심으로 동의, 포함, 중첩관계에 있는 한자어에 초점으로 맞추고자 한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의 형태적, 의미적 상이에 주목한다. 유의관계의 한자어는 한국어, 일본어 및 베트남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를 대상으로 한 것이며 마지막으로 이들 어휘 관계의 상호 분석 결과를 도식화한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Historical Background
3. Comparisons on VJKC
4. Summary
Selected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경. (2008).A Comparative Study of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For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of Japanese(JC), Vietnamese(VC) and Korean(KC). 이중언어학, (), 149-184

MLA

김희경.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For the lexicon of Chinese Character of Japanese(JC), Vietnamese(VC) and Korean(KC)." 이중언어학, (2008): 149-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