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yo’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엄진숙 최동주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1호, 229~26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Chinese learners' acquisitional stages of Korean particle ‘yo’ and to suggest the reason why they acquire it through those stages. The usages of Korean particle ‘yo’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eo(final ending) + yo>, , and ‘discourse particle yo’. This paper shows, by analysing the results of selection test and interview, Chinese learners acquire ‘yo’ through the following acquisitional stages; 1) <-eo(final ending) + yo>, 2) (in this case, ‘connective forms of verb/adjective + yo’ and ‘adverbials + yo’ are acquired first, and then ‘nominals + yo’), 3) ‘discourse particle yo’. The reason why the stages are so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processability. <-eo(final ending) + yo> can be acquired as one unit without being analysed, and thus is acquired first. However, can be acquired only after ‘yo’ is recognized as a separate unit. The reason why the acquisition of ‘discourse particle yo’ is late seems to be due to its optionality and opacity of meaning. As for , ‘connective form of verb/adjective + yo’ is acquired before ‘nominals + yo’ because of instruction and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s ‘adverbials + yo’ can be recognized as one unit, at least at earlier stage in KSL, it is acquired earlier than ‘nominals + yo’.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배경 및 연구 문제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ectio지수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읽기 능력 연구
- 한국문학 교재 단원 구성 방안
- 韓·中동물명 명명(命名)기제 비교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수정된 출력(Modified output)을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 Learners' Perception of Indirect Written Feedback and Its Impact on Their Classroom Performance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 한국어 읽기 질문 유형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과제 기반 형태 집중 연구 고찰
-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수량사구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의 문법 기술 방식 고찰
-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으로 본 이중언어 의미체계
- Discordance between Korean Parents' Expectations an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at an American Institute
- 한국어 교육의 평가 연구 고찰
- 상세화를 통한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향상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