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progressive acquisition of L1 Chinese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선희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1호, 139~17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gressive '-ko itt-' use of the L1 Chinese learners of Korean. Aspect Hypothesis(AH) predicts tha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progressive form to emerge with the activity verbs, and then proceed to accomplishment and achievement without inappropriate overgenalization to statives(Andersen & Shirai, 1996). The progressive use of the learners of Korean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learners use less progressive markers over the lexical aspects except statives compred to their counterparts.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y might progress over time following the prediction of AH as in the previous studies when they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the 65 video clips of verbs categorized into five lexical aspects.
목차
1. 서론
2. 진행상 습득과 관련된 시상가설
3. 제2언어 진행상 습득에 대한 선행 연구
4.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진행상과 동작류의 결합 양상
5. 연구 방법
6. 연구 결과 및 논의
7.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ectio지수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읽기 능력 연구
- 한국문학 교재 단원 구성 방안
- 韓·中동물명 명명(命名)기제 비교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수정된 출력(Modified output)을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 Learners' Perception of Indirect Written Feedback and Its Impact on Their Classroom Performance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 한국어 읽기 질문 유형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과제 기반 형태 집중 연구 고찰
-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수량사구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의 문법 기술 방식 고찰
-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으로 본 이중언어 의미체계
- Discordance between Korean Parents' Expectations an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at an American Institute
- 한국어 교육의 평가 연구 고찰
- 상세화를 통한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향상 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