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급 학습자의 수정된 출력(Modified output)을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The Study of Teachers' Scaffolding for Learners' Modified Outpu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정미혜 박동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1호, 361~39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scaffolding used in the classroom conversati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and to find out effective scaffolding types promoting learners' modified out. To do so, this article synthesized findings from observational classroom research on teachers' scaffolding in an beginning level of Korean language classroom. Out of 4 different types of scaffolding implemented, 14 different types of sub-scaffolding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orrective feedbacks along with teacher's verbal or nonverbal cues are to be the most effective scaffolding. Among 6 corrective feedback types used in the study, teachers show a clear preference for elicit rather then other feedback types, leaving more opportunities for learners notice their output and correct their errors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other scaffolding types like reduction in the degree of freedom and modeling were proven to be less helpful promoting learners' modified output. This study also reveals the importance of teachers' gradual scaffolding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beginning learners whose language proficiency is limited in the use of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target language. The learners seem to be able to modify their output in an interaction with teachers when teachers intervene the dialogue more than twice.
목차
1. 머리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연구 결과 및 논의
6.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ectio지수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읽기 능력 연구
- 한국문학 교재 단원 구성 방안
- 韓·中동물명 명명(命名)기제 비교 연구
- 초급 학습자의 수정된 출력(Modified output)을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 습득 양상
- Learners' Perception of Indirect Written Feedback and Its Impact on Their Classroom Performance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 한국어 읽기 질문 유형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과제 기반 형태 집중 연구 고찰
- 한국어와 폴란드어의 수량사구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의 문법 기술 방식 고찰
-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으로 본 이중언어 의미체계
- Discordance between Korean Parents' Expectations and Their Children's Participation at an American Institute
- 한국어 교육의 평가 연구 고찰
- 상세화를 통한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향상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AI-Generated Rubrics for ESL Writing: Proficiency-Based Shifts in Assessment Priorities
- 초등영어 읽기 교육에서 협동학습 전략의 효과에 대한 평가: STAD와 TGT전략을 중심으로
- Motivation as a Mediator in L2 Acquisi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in the Korean EFL Contex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