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다’ 동사와 ‘する’ 동사의 대응 양상
이용수 2
- 영문명
- Aspects of equivalency in the verbs ‘hada(하다)’ and ‘suru(する)’: focusing on sino-cognate roots construction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다키구치 게이코 남길임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6호, 103~13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quivalency of the ‘Sino-Korean+-hada’ verbs in Korean and ‘Sino-Japanese+-suru’ verbs in Japanese with the goal of lexicographically categorizing these verbs. Both Korean and Japanese use Chinese character sin their written languages, and approximately 50% of the word sin the dictionaries of each are Chinese-derived. The verbs ‘-hada’ and ‘-suru’ have usually been described as equivalent sin Korean-Japanese bilingual dictionaries, and they very often combine with sino-cognate nouns such as ‘research (硏究), climb(登山), exercise(運動)’ to form new verbs in both languages. This study analyses the semantic, syntactic, and pragmatic aspects of 497 verb sets thus composed of ‘Sino-cognate roots+-hada’ and ‘Sino-cognate roots+-suru’ from the dictionaries of each language. Over 90% of the 497sino-cognate-root verbs with ‘-hada’ and ‘-suru’ are identified as ‘true friends’. Only 10% of the verbs are turned out to be ‘false friends’:Most of these cases show a variety of differences in meaning and diverse perspectives; differences in denotative meaning expanded meaning simplicit in polysemy, degrees of meaning, or in the implications of meaning. Even when apparently equivalent verbs do have similar meanings, it is significant that they often have different argument structures, or that their frequency is realized in distinctive ways.
목차
1. 머리말
2. ‘하다’동사와 ‘する’동사 대조분석과 관련한 선행 연구
3. 연구 대상 및 방법
4. ‘-하다’, ‘-する’ 동사의 대응 양상
5. 맺음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eneath the “English Fever” Phenomen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Early Study-Abroad Undergraduates’ Parents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구
-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아동(CODA)의 언어발달 관련 연구 문헌분석
- 서울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요구 조사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개인차 요인과 제2언어 성취 간의 관계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 한국 이민자 자녀와 관련된 용어 사용상의 문제점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래어 조어소 선정에 관한 연구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생산 능력과 이해 능력 비교
- 영어의 현재완료와 러시아어의 완료상/불완료상
- ‘하다’ 동사와 ‘する’ 동사의 대응 양상
-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시행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능력시험의 발전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