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Developing model uni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hakdang: Beginner level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해영 박선희 최은지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6호, 321~3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ejonghakdang has constructed itself as a merging and cultivating institut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nd out of Korea. However, the continual needs have arisen from the lack of adequate and suitable textbooks for the institut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launched the textbook development project to meet these needs in 2011. This paper aimed to report how this project had developed the units of the textbook,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Sejonghakdang: Beginner level’(tentative title). It has bee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situation of the Sejonghakdang. Since the regular beginner level courses at the Sejonghakdang are operated on 4 hour session per week for 2 semesters(30 weeks), 29 units in total have been developed. The primary components of the unit are composed of 5 parts such as 2 Dialogues, Listening & Speaking, Reading & Writing, and Culture, each of which has theoretical basis on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wo Dialogues have sub components such as Vocabulary, Grammar, Activity 1and Activity 2, which correspond to the Language Knowledge component of the Standard Curriculum. The integrated Listening & Speaking and Reading & Writing components also correspond to the Language Use component of the Standard Curriculum. The 8 Culture items were included as suggested in the Standard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상황 분석을 통한 단원 구성
3. 단원 구성의 준거와 단원의 모형
4. 단원 구성의 실제와 활용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eneath the “English Fever” Phenomen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Early Study-Abroad Undergraduates’ Parents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구
-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아동(CODA)의 언어발달 관련 연구 문헌분석
- 서울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요구 조사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개인차 요인과 제2언어 성취 간의 관계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 한국 이민자 자녀와 관련된 용어 사용상의 문제점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래어 조어소 선정에 관한 연구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생산 능력과 이해 능력 비교
- 영어의 현재완료와 러시아어의 완료상/불완료상
- ‘하다’ 동사와 ‘する’ 동사의 대응 양상
-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시행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능력시험의 발전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