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요구 조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순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6호, 215~2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result of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concerning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bilingual education differed completel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and also conducted thorough interview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iming to explore the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to clarify the demands that exist toward bilingual education today. I discovered that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offered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elementary schools are based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more on cultural rather than linguistic education. Students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languages their mothers speak, but different goals should be set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student. In particular, immigrant children are in need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Also, the current tendency of bilingual education classes to focus on cultural education should shift to include clear goals and directions for bilingu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중언어교육
3. 서울 지역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대상 이중언어교육 현황
4. 교육 주체와의 심층 면담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eneath the “English Fever” Phenomen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Early Study-Abroad Undergraduates’ Parents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의 단원모형 개발 연구
- 청각장애부모 가정 건청아동(CODA)의 언어발달 관련 연구 문헌분석
- 서울 지역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의 현황과 교육 주체의 요구 조사
- ‘세종학당용 초급 한국어 표준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개인차 요인과 제2언어 성취 간의 관계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규칙 습득 연구
- 한국 이민자 자녀와 관련된 용어 사용상의 문제점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래어 조어소 선정에 관한 연구
-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생산 능력과 이해 능력 비교
- 영어의 현재완료와 러시아어의 완료상/불완료상
- ‘하다’ 동사와 ‘する’ 동사의 대응 양상
-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시행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능력시험의 발전 양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