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Korean Movie ‘Veteran’ and its Chinese remake ‘Big Shot’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문경희 권순희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2호, 25~5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film ‘Veteran’ and the Chinese remake ‘Big Shot’ by analyzing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providing educational sources for 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film ‘Veteran’ and ‘Big Shot’, the study used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helped categoriz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video text of those movies. The two films are based on the same story, while fundamentally changing the various culturemes, social perspectives,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give the audience more immersion and realism. In this study, the focus of the main analysis is the narrative cultureme and the cultureme of language expression. In ‘Veteran’, the Korean cultural frame worked on the whole Korean society or issues related to its social system by actively reflecting social issues, conflicts and phenomena. On the other hand, ‘Big Shot’ actively reflects Chinese culturemes and social phenomena so that it seems natural for Chinese audiences to adopt those elements while basically using the story of ‘Veteran’. In particular, the study demonstrates differences in basic perspectives and social awareness of the two countries such as ‘myths regarding national organizations’. By comparing ‘Veteran’ and ‘Big Shot’,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people in their universal cultural awareness and ways of thinking.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분석틀
3. 서사 측면 문화소
4. 언어 표현 측면 문화소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한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법 사용 양상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토론 태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ㅡ, ㅜ, ㅓ, ㅗ/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로서 유럽공통참조기준 자가진단표의 타당도 검증 및 활용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유창성 요소 사용 양상 연구
- 수업 연계 튜터링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자료 제작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