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On the Validity of Corpus for Contrastive Analysis: Focusing on Korean-Chinese Contrast Analysi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황은하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2호, 259~2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verify the bilingua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To this end, Chapter 2 describes the problems of the corpus construction and corpus used in contrastive linguistics. Chapter 3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kinds of the bilingual corpus - parallel corpus and comparative corpus used in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In Chapter 4,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aralle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uni-direction contrastive study: the corpora used in five different studies on the Korean particle ‘e(에)’ and ‘eseo(에서)’ and their correspondences in Chinese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corpora used in these five papers were different, and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study subjects were different, which proved the effect of parallel corpus structure in contrastive studies. Furthermore, we conducted a replica study focusing on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suffixes. Focusing on the large difference in corpus siz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ub-corpora of the comparative corpus, we resized the Korean sub-corpus and conducted a replica study on the suffix.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Korean corpus siz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results on the Korean suffix significantly depend on the corpus size. In summary, it is vital to apply strict standards for representativeness, balance, and size in constructing parallel and comparative corpus in contrastive linguistics studi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제 제기
3. 한중 대조분석에 사용된 말뭉치의 특성
4. 한중 대조분석 연구에 사용된 말뭉치의 타당성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한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법 사용 양상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토론 태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ㅡ, ㅜ, ㅓ, ㅗ/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로서 유럽공통참조기준 자가진단표의 타당도 검증 및 활용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유창성 요소 사용 양상 연구
- 수업 연계 튜터링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자료 제작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