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자료 제작 연구
이용수 17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Materials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cusing on Using Speech Synthesis Program(TT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진철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2호, 6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though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related technologies has been expanding to various fields over the past decade, research on util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minimal. Therefore, in this study, we sought to explore the educational use of listening material produced by the TTS program.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listening evaluation on learn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und source recorded by a professional voice actor and the listening material using the TTS program. Second, Liste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for Korean teachers. ‘Pronunciation’ could be considered good overall. 'Intonation and Accent' needs to be elaborated according to context of situations, including the speaker's feelings. and that ‘time factors’ can be accepted naturally in general, but some sentences were awkward. Third, after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listening material produced through the STT program, 96%, the pronunciation of the listening material was generally clear. Overall, the listening material produced by the TTS system has been evaluated in various ways, a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expanding the scope of the TTS program requires continuous performance improvement effort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및 내용
4. 연구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한 상호작용 활성화 방안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문법 사용 양상 분석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토론 태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ㅡ, ㅜ, ㅓ, ㅗ/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로서 유럽공통참조기준 자가진단표의 타당도 검증 및 활용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유창성 요소 사용 양상 연구
- 수업 연계 튜터링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자료 제작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