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Grammatical Terminology in Clas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성지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2호, 157~1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ne of the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grammar teaching is whether we need to use the grammatical terms while teaching grammar or no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such controversies in the situation of Korean 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do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eacher’s using grammatical terminology in classroom on the ability to use Korean particle, proficiency in Korean and the knowledge of grammatical terms. In the experiment two Korean teacher taught elementary Korean to 12 multinational exchange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Korea for 3 weeks using grammatical terminology. Learners were tested TOPIK, grammatical terminology knowledge test, a sentence completing test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clas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scores.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 terminology knowledge test and a sentence completing test was closer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tests. 2) after 3 weeks of classes sentence completing test scores are most improved. This means that using the terms such as ‘subject’, ‘object’, ‘particle’, ‘ending’, ‘connective ending’ helpful for students to identify and use Korean particle. 3) To use grammatical terminology during the three weeks of classes did not affect the proficiency in Korean. (Korea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문법 학습과 문법 용어 사용
4. 실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과 한국어 교육정책
- 학습자 수준과 평가자 변인에 따른 단어 명료도 측정 연구
- 아동 대상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수 방법과 교사 효능감
-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음향 공간 비교
-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동물 상징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관계 분석 연구
-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 L2 한국어 관계절의 이해와 산출
- 거시적 접근 방법을 통한 재외 동포 학습자의 시 교육 내용 설계 연구
- 단기 해외봉사단 한국 언어‧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의 존대법 오류 분석
-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언어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