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Study on Using Language Games to Teach and Learn the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권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2호, 341~3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used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to make the language learning interesting and to reduce boredom and anxiety. Language games are one of the methods used for that purpose. Games are very effective in proceduralising the knowledges on language, i.e., in transforming the declarative knowledge into the procedural knowledge in the brains of a language learner.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pply games to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by adapting them into the teacher’s manuals of the regular Korean language program at the language institute of a university in Korea. In the article the author examines the definition on language games, then make questionnaire surveys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game use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classrooms. He proposes three principles on which a language game should be formulated and mentions some aspec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choosing a language game. On the basi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author has composed sample teaching plans which make use of language games. (Inha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언어 게임의 개념
3. 선행 연구
4. 언어 게임의 효용성
5. 언어 게임의 활용 실태 분석
6. 언어 게임의 활용 방안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과 한국어 교육정책
- 학습자 수준과 평가자 변인에 따른 단어 명료도 측정 연구
- 아동 대상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수 방법과 교사 효능감
-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음향 공간 비교
-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동물 상징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관계 분석 연구
-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 L2 한국어 관계절의 이해와 산출
- 거시적 접근 방법을 통한 재외 동포 학습자의 시 교육 내용 설계 연구
- 단기 해외봉사단 한국 언어‧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의 존대법 오류 분석
-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언어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