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a Model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Using Korean Pop Culture abroad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훈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2호, 131~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 model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real application case. The model takes advantage of Korean pop culture, which is growing in popularity in other countries. Dramas and songs have been selected as the main content for classes on the Korean language as they have represented the mainstream success of Korean pop culture abroad. This new model may lead to some interesting results. Students will experience new written sources and use them to improve their grammar and vocabulary skills. A direct approach will be used in which students will listen to the living language that is spoken by the Korean people in real situations. The use of pop culture will undoubtedly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in their Korean language class content and will convey important element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is approach to teaching Korean is not only theoretical, but it is practical and is based on my teaching experience at Venice University in Italy and at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in Thailand. The teaching model defined in this paper will be ver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but it still requires the systematization of materials and sources to set it into a scientifically rigorous program of instruction.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in Thailand)
목차
1. 서론
2. 대중문화 자료의 대상, 목적과 선정 기준 및 가치
3.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과 한국어 교육정책
- 학습자 수준과 평가자 변인에 따른 단어 명료도 측정 연구
- 아동 대상 한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수 방법과 교사 효능감
- 한국어 학습자의 모음 음향 공간 비교
- 문화 간 의사소통을 위한 동물 상징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관계 분석 연구
- 교실 수업에서의 문법용어사용의 효과 연구
- L2 한국어 관계절의 이해와 산출
- 거시적 접근 방법을 통한 재외 동포 학습자의 시 교육 내용 설계 연구
- 단기 해외봉사단 한국 언어‧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의 존대법 오류 분석
-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숙달도 평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김소월 시에 나타난 이별의 ‘정서’ 교육 방안
- 언어 게임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