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담화 기능 연구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Discourse Functions of Korean Negative Questions in Oral Persuasive Discours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정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4호, 289~3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is to explain the functions of the negative question, which is theyes-no interrogative in discourse. The unmarked speech act of theyes-no question is to request for information that the speakerwants to know. But as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very oftenused as a polite way of expressing a request, making an offer andso on, the negative question can be adapted pragmatically for thepurpose of performing such speech acts. In Korean, the negativequestion is a means of expressing attitudes, assumptions andemotions of speaker. And it can be a means of leading theconversations, rather than indicates lack of knowledge on the partof the speaker. By analyzing 10 debates of Korean TV programs,this study focuses on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 negativequestion. As the results of analyzing Korean TV debates, thenegative question controls the flow of an argument, or can beused to get the floor in the debate. When considering thefunctions of questioning strategies that convey informationeffectively, the negative question shows that the speaker of oralpersuasive discourse expresses his strong feelings and theassumption that the speaker has expected the reaction of thelistener. (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담화 기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전략 교수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과 교육 현황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 난이도 평가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큐멘터리 제작 프로젝트 수업 연구
- TV 뉴스를 이용한 한국어 교재 구성의 원리와 실제
- 한국어 학습 전략 연구의 과제
- Remedial Teaching on L2 Korean Errors: A Procedural Strategy and Students' Perceptions
-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발음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평음·경음·격음 교육 방안 연구
-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구
- 한국어 학습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 한국어 장소·시간 기능 후치사와 러시아어 전치사의 대조
-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담화 기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