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Research on Development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경희 이승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4호, 313~3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will take the basic Korean language learning theories and analyze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that are currently being utilized on smart devices. This analysis has the goal of attaining implications on learning application content that will be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obile smart devices with its internet capabilities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 to the educational paradigm. Many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in their 20s to 30s are a part of a ‘Digital Generation’.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o satisfy the demand of the generation, the development of mobile content is urgent. This paper, before discuss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pplications, argues that there is a need for move focus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current language learning mobile applications. The current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were thoroughly analyzed along the pre-set of “audience and learning goals”,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learner participation and diversity”, “learner evaluation” and “o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as an absence of interaction, lack of providing support and evaluation to the learners, and a lack of providing feedback on the learners development and proficiency. We found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fessional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mobile language applications. In conclusion, in collaboration of application developers and language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should be developed encompassing development in the techn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 (Sejong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현황
4. 한국어 학습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전략 교수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과 교육 현황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 난이도 평가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다큐멘터리 제작 프로젝트 수업 연구
- TV 뉴스를 이용한 한국어 교재 구성의 원리와 실제
- 한국어 학습 전략 연구의 과제
- Remedial Teaching on L2 Korean Errors: A Procedural Strategy and Students' Perceptions
- 중국인 학습자의 청취·발음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평음·경음·격음 교육 방안 연구
- 브라질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나타난 공손표현 연구
- 한국어 학습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석 연구
- 한국어 장소·시간 기능 후치사와 러시아어 전치사의 대조
- 설득적 말하기에 나타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담화 기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