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L1-L2 Composition of Chinese KFL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혜 전형길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2호, 135~1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omposition and interview results of Chinese KFL students in order to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 examined each part of the composition structure. We found that the Korean compositions (KCs) were mainly deductive. However, the Chinese compositions (CCs) were more non-deductive and had more personal stories. In the body, KCs showed structures which had sequence indicators and parallel lists. On the other hand, CCs showed a structure in which the authors used several examples and facts to support their main opinions. Most KCs had conclusions that summarized the body. Conversely, there were several different kinds of conclusions in CCs. By examining both expressions and meanings of the texts’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 were able to see a difference in discourse markers including final phrases. Exclamatory sentences, rhetorical questions, and sentence parallelism were used in CCs. Usage of many of these Chinese rhetorical devices was also spread to KCs. Also, many Chinese cultural subjects were used in KCs. Through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L1-L2 compositions had large differences when looking at their structures. However, there were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Also, there is a need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to be open to interlanguage results when completing L2 compositions using L1 resources.(Korea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모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의 다양성
- 한국어 ‘어디’와 중국어 ‘哪兒/哪裡’의 대조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 관계 분석
- Processing and Acquisition of Korean Passive Voice by Chinese L2 Learners
- Who is talking? From Teacher-led to Student-led Discussion in Advanced Korean Classe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 작문과 한국어 작문 비교 연구
-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대화일지 쓰기 사례 연구
- 미국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장애음 지각 연구
- Future directions for KFL learning strategy research: In American college classroom setting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